본문 바로가기
정책 플러스

금리인하요구권 대상자확인, 필요서류, 승인거절사유 대출 금리 지금 바로 줄여보세요.

by 꿀-정보 2023. 3. 12.

신용대출, 부동산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이 있으시나요? 대출 갱신으로 금리가 많게는 두 배정도로 정말 많이 올라서 고민 많으신 분들 계실 텐데요. 남들 금리 인하받을 때 나만 몰라서 비싼 이자 다 내면 안되잖아요. 대출 이자 확실히 줄일 수 있는 금리인하요구권의 조건과 신청방법, 그리고 어떤 경우 거절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리인하요구권이란


대출해준 금융사에 금리를 낮춰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신청하거나 신청해서 은행에서 거절당하더라도 생길 수 있는 불이익은 전혀 없으니 아래 조건을 확인하시고 해당되시는 분은 꼭 신청해 보세요!
 
 

금리인하 조건


  은행별 특이 조건 소득 & 재산 증가 신용도 상승
국민은행 KB 스타클럽 신규 또는 등급상승 소득 증가 (취업,승진,이직,전문자격 취득)
재산증가(자산증가,부채감소)
신용평점,
신용등급 상승
우리은행 우리 가족 우대서비스 등급 상승
하나은행 최근 3~6개월 내 당행 수신 평잔 상승
금융거래실적(급여입금,생활요금 자동이체)
농협은행  
신한은행  

1. 소득 또는 재산 증가

소득이나 재산이 늘어나서 대출을 받았을 시점보다 상환을 더 잘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면 됩니다. 이번에 취업을 했다거나, 승진을 했다거나, 연봉이 높은 직장으로 이직을 했다거나 전문자격을 취득해서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면 소득이 증가했음을 증명할 수 있고, 대출받은 은행의 통장 잔고가 성과급 등으로 갑자기 증가했다거나 부채가 감소했을 때에는 재산이 증가했음을 증명할 수 있게 됩니다.
 

2. 신용도 상승

신용평가회사의 신용도가 상승했을 때도 금리인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은행마다 추가되는 조건

국민은행의 경우 KB 스타클럽 신규이거나 등급이 상승했을 때, 우리은행의 경우 우리 가족 우대서비스 등급이 상승했을 때, 하나은행의 경우 3-6개월 내 평잔 상승이나 급여입금이나 생활요금자동이체등의 금융거래실적 등으로도 금리인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요구권 신청방법


신청 대상

시중은행, 저축은행, 카드사, 보험사 등 제1~2 금융권에서 받은 신용도에 따라 금리가 달라지는 상품들(신용대출, 부동산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에 대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외부기관과 협약해 받은 대출이나, 예적금, 청약, 펀드, 신탁 담보 대출 등 신청이 불가능한 대출도 있으니 대출받으신 영업점에 정확하게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필요 서류

금리인하 신청서, 재직증명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및 신용상태 개선 증빙자료 등이 있습니다.
 

신청하기

영업점 또는 인터넷/모바일뱅킹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가계대출을 받으셨다면 모바일뱅킹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대출 카테고리에서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메뉴를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왼쪽이 국민은행, 오른쪽이 우리은행 입니다.
 

금리인하요구권 모바일로 신청하기 (왼쪽 : 국민은행어플, 오른쪽 : 우리은행어플)

우리은행 금리 인하 요구권 신청 바로가기
국민은행 금리 인하 요구권 신청 바로가기
농협은행 금리 인하 요구권 신청 바로가기
 

신청 결과 확인

10일 이내에 결과와 사유를 해당 은행으로 부터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승인이 거절되는 이유


대출의 종류에 따른 승인 거절

외부기관과 협약해 대출이 나오는 상품(햇살론 등)인 경우나

담보의 종류가 예적금, 청약, 펀드, 신탁 등일 경우,

그리고 신용등급에 따라 금리가 달라지는 상품이 아닐 경우 승인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또 특별한 사유로 승인받은 대출이나 은행 내규에 따라 제한적인 대출을 받은 고객도 승인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은행의 내부 기준에 따른 승인 거절

재산이 증가했더라도 신청 은행 기준의 신용등급이미 최고 수준인 경우나 재산이나 급여 등의 인상률이 신청 은행의 기준보다 적을 경우도 거절될 수 있습니다.
 

신청자 중 3명에 1명 꼴로 금리인하요구에 성공한다고 합니다. 신청이나 신청거절에 따른 불이익이 없으니 사유가 될만한 일이 생기기라도 하신다면 일단 신청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고금리 시대에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