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플러스

서울시 지원 등하원도우미 아이 아플때 2시간도 가능 서비스 신청 하기 틈새 아이돌봄 몰라서 못 받는 육아 정책 1월부터

by 꿀-정보 2023. 3. 19.

서울에서 맞벌이하며 육아하는 것 참 힘든 일인데요 육아하기 좀 더 편해지는 서울시를 만들기 위해 2002억을 투입하여 '엄마 아빠 행복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몰라서 못 받는 육아 정책 알기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2023년 1월부터 시행되는 육아 정책 중 서울형 틈새 아이 돌봄 3종 서비스와 그 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영아 전담 아이돌봄 서비스 (서울 전 지역)


출산 휴가 또는 육아휴직 후 직장으로 복귀하는 가정에 영아 돌봄 경험이 많은 '영아전담돌보미'가 가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용대상은 서울시 양육공백 가정의 만 3개월~ 36개월 이하의 영아입니다
비용은 정부지원 아이 돌봄 서비스 종류별 이용료와 동일하며, 시간제/영아종일제/질병감염아동지원으로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이용요금 참고 사항
시간제 기본형
시간당
11080원
종합형(가사제공)
시간당
14400원
최소 2시간 이상 신청, 30분단위 추가
야간/휴일 50% 할증
2명 동시 돌봄시 25%감액
3명 동시 돌봄시 33.3%감액
영아종일제 시간당
11080원
(가사제공X)
최소 3시간 이상 신청, 30분단위 추가
3개월미만 아기도 센터 협의하에 가능
야간/휴일 50% 할증
2명 동시 돌봄시 25%감액
3명 동시 돌봄시 33.3%감액
질병감염아동지원 시간당
13290원
(가사제공X)
최소 2시간 이상 신청, 30분단위 추가
코로나19 등 격리 필요한 경우 이용 불가
긴급신청 1577-2514

자세한 사항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아이 돌봄서비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2. 등하원 전담 아이돌봄 서비스


어린이집/유치원/학교/학원 등 등하원이 필요한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등원 사전준비/등하원동행/하원 후놀이활동 등을 '등하원 전담 아이돌보미'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3년에는 강동/ 광진/ 서대문/ 용산/ 중랑의 5개의 자치구에서 시범 운영하며 24년에는 전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시간제로 기본형인 경우 시간당 11080원이며, 가사가 제공이 되는 종합형인 경우 시간당 14400원입니다

 

3. 아픈 아이 전담 아이 돌봄 서비스


비전염성 질병으로 병원 내원 또는 돌봄이 필요한 아픈 아이를 대상으로 전담 돌보미가 병원 동행 및 가정 돌봄을 제공합니다
23년에는 강북/강서/동대문/서초/성동의 5개의 자치구에서 시범 운영하며 24년에는 전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시간제/ 영아종일제로 이용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아래 글을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2023.03.18 - [육아 플러스] - 서울시 아픈 아이 돌봄 센터 서비스 신청방법 자세히 알기쉽게 몰라서 못 받는 서울시 육아 정책 1월부터


 
 

신청방법

기존 정부지원 아이 돌봄 서비스 신청 방법과 동일합니다

 

 

서비스제공기관에 전화

1577-2514로 전화하면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서비스제공기관을 연결해 줍니다. 서비스제공기관에 연락해 서비스 신청방법을 안내받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신청

아이 돌봄 홈페이지> 마이페이지> 정기신청 및 단기신청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서비스제공기관에 연락하셔서 필요 서류를 안내받고 제출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가입 시 정회원 승인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가입 후 마이페이지> 회원정보> 정회원전환
 

 

 

서울시 서비스제공기관 연락처/서비스 종류

서울시 서비스 제공기관별 연락처와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를 아래에서 확인하시고 연락해 보시길 바랍니다

 
2023년부터 시행되는 서울형 틈새 아이 돌봄 3종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존  정부 지원에서 영아 전담 돌보미가 생기고 법정 전염병이 아닌 질병에 걸리더라도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고 등하원 돌봄도 추가되었습니다
이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