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준비 할 때마다 바쁘고 정신없으시죠? 이사 여러 번 해봐도 이사가 끝날 때까지 뭔가 빠뜨린 것 같아 불안하고 결국 한 두 가지 빠뜨려 이사 당일날이 되어 당황하곤 하는데요. 이사 두 달 전부터 사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도 공유드리고 이사 준비 팁 알려드릴게요.
이사 두달 전
1) 짐 정리
짐 싸기 전 짐을 정리합니다. 집 안 물건을 살펴보세요. 이사 가서 안 쓸 것 같은 짐이라면 버리거나 중고마켓에 내놓으세요
이삿짐이 줄여지면 이사 견적도 줄어듭니다.
2) 이사업체 예약
이사업체들에 연락해 견적을 여러개 받아 비교하고 결정하세요. 요즘엔 한 번 견적신청으로 여러 곳의 견적을 한 번에 받아주는 어플도 있으니 다음 글도 참고해 보세요.
2023.02.26 - [분류 전체보기] - 후기 좋은 이사 어플 장단점 비교 BEST4 (짐싸 미소 숨고 센디)
3) 가스/인터넷/가구 이전 방문 예약
사용하고 있는 가스,인터넷 업체에 연락해서 이사 가는 것을 알리고 이전 신청을 하세요.
가스 업체에서 이삿날 방문해 가스밸브 해체 작업과 정산처리를 해주게 됩니다.
인터넷도 이사 당일 이전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전 신청 하세요. 그리고 전화하면서 자동이체 해지하는 것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붙박이 가구 등이 있다면 업체에 연락해 이전 설치 예약을 하시길 바랍니다. 방문예약이 밀릴 수 있으니 미리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4) 자녀가 있다면 전학준비
자녀가 있으시다면 학교에 연락해 전학 처리에 대해 문의하세요.
이사 한달 전
1) 이사 갈 집 가구배치 계획
이사 갈 집에 가구를 어떻게 배치할지 미리 계획하세요. 배치가 어렵거나 사용하지 않을 가구 중 상태가 좋다면 중고마켓에 내놓아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2) 지역화폐 / 포인트 소진
현재집의 지역구에서만 사용가능한 지역화폐나 포인트가 있다면 미리 소진하도록 하세요.
3) 이사 갈 집 엘리베이터 사용/ 사다리차 주차 자리 예약
이사 갈 곳이 아파트라면 관리소에 전화해 이사 당일 엘리베이터사용을 예약하고 미리 사다리차와 이삿집차량 자리도 확보하세요.
아파트가 아닌 경우에도 집주인에게 연락해 사다리차나 이삿짐센터차량이 사용할 수 있는 주차 자리를 확보하세요.
4) 냉장고 파먹기
냉장고에 냉동식품이나 냉장보관중인 식품들이 많다면 이것들부터 소진하도록 식단계획을 짜보세요.
이삿짐센터에서 아이스박스를 이용해 옮겨주긴 하겠지만 오랜 시간 냉장고 밖에 있다 보면 신선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5) 짐싸기
포장이사가 아니라면 짐을 미리미리 싸도록 해보세요.
저의 경우 한 달간 꼭 사용할 물건이 아니라면 박스에 미리 짐을 싸놓고 한 달 동안은 최소한의 짐으로 생활하는 편입니다.
이사 당일 다가와서 이삿짐을 싸게 되면 마구잡이식으로 쌀 수 있기 때문에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이사 일주일 전
1) 우편 주소 이전 신청
우편 주소를 일괄로 이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 | 민원안내 및 신청 | 민원24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2) 렌탈, 정기배달 주소 이전 신청
렌탈 제품을 이용해 정기적으로 방문이 있거나 정기적으로 배달을 받는 제품이 있다면 주소 이전 신청을 하세요
3) 이삿날 현재 집 엘리베이터/ 사다리차 자리 예약
현재 집이 아파트라면 관리소에 전화해 이사 당일 엘리베이터 사용을 예약하고 미리 사다리차와 이삿집차량 자리도 확보하세요.
아파트가 아닌 경우에도 집주인에게 연락해 사다리차나 이삿짐센터차량이 사용할 수 있는 주차 자리를 확보하세요
4) 폐가구/대형쓰레기 수거 스티커 받아오기, 폐가전 무료 수거 신청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해 이사 당일 버릴 폐가구/대형쓰레기 수거 스티커를 받아오세요.
스티커를 미리 붙여두고 이사 당일 날 이삿짐센터를 통해 내려놓으면 됩니다.
또는 빼기라는 어플을 이용해 간편하게 수거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폐가전은 종류에 따라 무상 수거가 가능합니다. 1599-0903으로 전화하거나 아래 링크를 통해 수거 예약이 가능합니다.
빼기 | 국내 최대 AI기반 대형폐기물 배출 서비스
국내최대 환경자원 데이터 플랫폼, 빼기 사진 한 장으로 대형 폐기물 배출 신고. 무거운 대형물품 운반 도움. 폐기물 중고 판매
bbegi.com
5) 이체한도 확인
이사 당일 잔금 이체를 위해 이체 한도를 확인하고 필요시 미리 늘려둡니다.
이사 전 날
1) 귀중품 따로 보관/ 휴대용 가방 챙기기
귀중품이 다른 이삿짐과 함께 딸려 나가지 않도록 미리 따로 보관해 둡니다.
그리고 이삿날 당일 사용할 물건들을 휴대용 가방에 미리 챙겨 둡니다.
예를 들면 치약칫솔세트, 칼, 테이프, 청소용품 등을 따로 챙겨 놓으면 이삿날 그 물건들을 쓰기 위해 많은 이사 박스를 뒤지지 않아도 됩니다
2) 현재 집 인계할 물품 따로 챙기기
현재 집의 옵션인 열쇠나 리모컨 등의 인계할 물품이 있다면 이삿짐에 딸려 가지 않도록 한 곳에 따로 챙겨둡니다
이삿날
1) 현재 집 전기/수도업체 전화해 정산/자동이체 해지
전기요금은 123, 수도요금은 120에 전화해 이삿날까지 사용한 요금을 납부하고 자동이체는 해지합니다.
2) 현재 집/이사 간 집 확인하고 사진 촬영
이사 나가기 전 현재 집에 두고 가는 물건은 없는지 확인하고 집 상태를 촬영합니다. 이사 가는 곳에서도 집 상태를 확인하고 전반적인 집상태를 촬영해 둡니다. 이렇게 찍은 사진은 혹시나 집 상태에 대해 문제제기가 되거나 비용을 청구할 때 증거자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3) 이사 간 집 가스/수도/전기 계량기 사진 촬영
이사 간 집의 가스, 수도, 전기 계량기의 숫자를 촬영해둡니다. 추후에 요금이 제대로 이삿날부터 나왔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아파트라면) 이사간 집 관리실 방문
아파트로 이사를 갔다면 관리실에 방문해 세대등록과 주차등록을 하고 주차증을 받아둡니다. 그 외 아파트 생활에 대해 안내사항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이사 후
1) 전입신고 / 확정일자
신분증을 지참해 관할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를 합니다. 임대차계약이라면 임대차계약서를 지참해 확정일자를 받도록 합니다. 전입신고는 2주 이내에 마치도록 하고 확정일자는 되도록 빨리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주민센터에서 일괄로 하는 것을 추천드리나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인터넷으로도 가능합니다. 관련 사이트 링크를 올려두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www.iros.go.kr/PMainJ.jsp
www.iros.go.kr
이사 전 체크해야 하는 부분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셔서 이것저것 챙길 것 참 많은 이사 준비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사용하는 체크리스트도 첨부하니 이사 준비에 필요하신 분은 프린트하셔서 원하시는 대로 수정해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이사 가는 곳에서도 좋은 일 가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생활 플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베이터 소음으로 인한 방음공사[1편]- 진동소음의 증상과 원인 (0) | 2024.01.19 |
---|---|
누수로 일상배상책임보험 실비 청구하고 보상 받은 후기 (0) | 2024.01.19 |
원룸이사, 투룸이사 3만원으로 이사하는 방법 (0) | 2023.03.12 |
후기 좋은 이사 어플 장단점 비교 BEST4 (짐싸 미소 숨고 센디) (0) | 2023.03.12 |
벚꽃 명소에서 우리 올해는 꼭 사진 업로드 해봐요 벚꽃 관광 인생사진 포즈 (0) | 2023.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