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플러스

엘리베이터 소음으로 인한 방음공사[3편]- 1차 방음공사 (실패 분석)

by 꿀-정보 2024. 1. 19.

------------------------------<게재 순서>

1. 진동소음의 증상과 원인

2. 방음공사 결심 이유

3. 1차 방음공사 실패

4. 2차 방음공사 성공

5. 2차 방음공사 업체 이용 전 고려사항

 

-----------------------------------------------------------------

지난 편 요약

[2편] 방음공사 결심이유: 우리집 소음은 남의 일이이다.

- 아파트 시공사: 변호사 문의 결과 시공 5년 지나면 책임의무 없음(5년 이내면 사후처리 의무 있는듯)

- 엘리베이터 업체: 이정도는 소음 기준에 못미친다...(하하... ㅋㅋㅋ)

- 관리사무소: 아무도 민원 안하는데 혼자만 예민하시다....(하하하.. ㅋㅋㅋ)

- 주민: 소음이 주민의 1/3에만 해당되므로 2/3은 무관심함.

아파트차원의 엘리베이터 방음시공은 몇천 몇억단위의 큰 비용이 소요되고

이런 경우 주민 허락이 필요할 거고 당연히 반대할 거로 예상됨.

=> *실제로 반대하신 것은 아니지만 충분히 예상됨, 내가 피해 안 받는 주민이라도 반대할듯.

 

 

 

나의 상황: 부모님 집 근처라 종종 육아도움을 받으려면 이 집에 살아야만 하고

이사를 결정 시 비용이 너무너무 크다. (부동산 중개료, 취득세, 이사비용, 인테리어비용 등등, 최소 1억 이상)

자녀 계획이 둘이라 자녀가 분리되어 잘 수 있는 방 2개가 필요하다.

그나마 첫째 자녀가 태어나기 전에 공사를 해야겠다. (2-3주 소요)

 

 

----------------------------------------------------------------------

 

 

 

[3편] 1차 방음공사 실패

 

이 카페에서 차음판, 흠읍재, 흡음보드 설치를 하였다는 글을 보고 방음 시공 또는 공사라는 게 있구나를 알게됩니다.

그분은 한쪽 벽만 하셔서 50만원 내외로 하셨다고 글을 쓰셨고 소음은 줄었지만

드라마틱하게 잠을 잘정도의 해결은 못봤다는 글을 참고하여

 

저는 육면체 기준으로 바닥을 제외한 모든 벽을 하기로 결정을 합니다.

원래 집 벽 기준으로 차음판 - 흡음재 - 흡음보드 순서로 붙이는 작업입니다.

 
 
 

 

 

 

<1차 공사>

소요시간: 방 1개당 1주 정도걸렸던 것 같습니다.

방 크기 : 3평 정도

*주의사항: 층간 소음이 심하니 주민동의를 구하고 관리사무소에 신고 하셔야합니다.

 

 

 

<결과>

방 2곳을 작업하였고 결과는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였습니다.

 

- 엘리베이터에서 먼 방은 이것으로도 충분히 효과가 있었습니다.

귀가 진짜 예민한 저였지만 귀마개 없이 잘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옆방에서 종종 들렸던 사람 목소리, 코고는 소리 등은 95% 이상 잡혔습니다. (소음 감소 95%, 잔여 소음 5%)

엘리베이터 진동소음도 안들리진 않지만 꽤 잡혔던 것 같습니다. 자다가 깨지 않으니깐요.

 

- 엘리베이터에서 가까운 방은 효과를 거의 못느꼈다고 해도 무방할정도로 처참하게 실패했습니다.

(소음 감소 10%, 잔여 소음 90%)

 

 

 

<실패 원인 분석>

 

1. 진동소음을 잡으려면 진동이 매개되지 않는, 끊기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물론 공기를 매개로 진동이 전달되긴 하지만, 기체이기 때문에 고체에 비해서는 덜 전달되죠..

 

2. 바닥을 하지 않았다.

보일러 열전달이 잘 안될까봐 바닥까진 하지 않았습니다. 업체에서도 추천을 하진 않았구요.

하지만 바닥을 타고 진동음이 여전히 전달되었습니다.

 

 

작업과정입니다. 2년전 작업인데 오랜만에 보니까 어떻게 이런 미친 일을 벌였는지 싶네요..;;

태어나지도 않은 자식한테 독립적으로 잘 수 있는 방 하나 주겠다는 일념으로 벌인 것 같은데

 

 

1. 천장 뜯기

 
 
 
 
 
시공 전 방의 모습
 

 

 

 

2. 공사 중

*재료 참고: 차음판(검정 돌판) - 흡음재(검정 두꺼운 부직포 종류)- 흡음보드 순(녹색빛 판)

 
 

 

 

흡음재 (검정 두꺼운 부직포류)

 
 

 

 

흡음보드 (녹색)

 
 

 

 

3. 두께: 한 10cm가량 된 듯 합니다. 오른쪽 보시면 흡음보드도 두판이나 겹친걸 볼 수 있습니다.

 
 
 
 

 

 

4. 천장, 바닥 찍힘을 감수해야합니다..;;

새로 인테리어한 집이었는데, 해당 방들 찍힘보수 및 필름처리, 도배를 다시해야 했습니다.

다시 봐도 어질하네요..;;

 
 
 
 

5. 완공된 방.

이 때만 해도 방이 엄청 줄어들었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습니다.

이 방이 엘리베이터 가까운 방입니다. 소음은 -10% 정도로.

이렇게까지도 해도 전혀 잡힌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

 
 
 

 

 

업자 말을 빌리면

사람 목소리등 같이 고주파는 잡히긴 쉬워도

진동 소음과 같은 저주파는 잡히기 어렵다고 합니다.

 

 

 

 

제 목표는 두 자녀에게 잘 수 있는 방을 하나씩 주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 업체와는 여기까지만 하고

이렇게 된 이상 해결할 때까지 끝까지 가게 됩니다.....

 

 

 

2024.01.19 - [분류 전체보기] - 엘리베이터 소음으로 인한 방음공사[4편]- 2차 방음공사 (성공 분석)

 

엘리베이터 소음으로 인한 방음공사[4편]- 2차 방음공사 (성공 분석)

------------------------------ 1. 진동소음의 증상과 원인 2. 방음공사 결심 이유 3. 1차 방음공사 실패 4. 2차 방음공사 성공 5. 2차 방음공사 업체 이용 전 고려사항 ---------------------------------------------------

wise-info.co.kr

 

2024.01.19 - [생활 플러스] - 엘리베이터 소음으로 인한 방음공사[2편]- 방음공사 결심 이유

 

엘리베이터 소음으로 인한 방음공사[2편]- 방음공사 결심 이유

1. 진동소음의 증상과 원인 2. 방음공사 결심 이유 3. 1차 방음공사 실패 4. 2차 방음공사 성공 5. 2차 방음공사 업체 이용 전 고려사항 ----------------------------------------------------------------------------------

wise-info.co.kr

 

 

댓글